미국Life

미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줄임말 약어 표현들

saltdoll 2025. 2. 22. 14:57
반응형

미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줄임말들.

 

미국에서 살다 보면, 공식적인 이메일에도 많은 부분 줄임말(Abbreviations)과 약어(Acronyms)들을 많이 사용합니다.

보통 약어를 줄임말로 표현할 때가 있는데,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한데, 같은 표현으로 많이들 사용하고 있긴 합니다.

줄임말은 Univ(Universty) Blvd(Boulevard)와 같은 말이고, 약어는 DOB(Date of Birth)와 같은 문장을 줄이는 표현을 이야기한다.

그래도 보통 우리는 줄임말과 약어를 같은 의미로 많이들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주 사용하고, 미국 생활에서 알아두어야 하는 표현들을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ASAP - As Soon As Passible

ASAP (As Soon As Possible)는 바쁘게 사는 한국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미국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가능한 최대한 빨리"라는 표현인데, 정중한 표현에서는 사용되지는 것을 꺼려하지만, 많은 업무나, 초대나 예약에서 많이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ETA (Estimated Time of arrival)는 "도착 예정 시간"에서 많이 사용되고, 미국의 구글맵의 도착시간이 나올 때면, 해당 시간을 친구들에게 ETA 시간을 보내면서, 도착 예정시간을 보내곤 합니다.

 

DIY (Do It Yourself)은 "직접 만들기"는 인건비가 비싼 미국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 중에 하나입니다. 가구를 만드는 아이케아(IKEA)라던지, 집수리, 자동차 자가 수리를 DIY라는 표현을 많이 써가면서, 수정하게 됩니다.

 

LOL (Laugh Out Loud)은 "크게 웃다"라는 너무 웃겼다는 의미를 표현으로 사용합니다. 요즘 LOL은 League of Legends게임의 이름을 표현으로도 사용하지요. 그래도 미국에서는 Text(문자)로 LOL은 빵 떠지다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하죠. 😂

 

FYI (For Your Information)는 "참고하세요"라는 의미로 이메일에 자주 사용되는 메시지입니다.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정보는 아니지만, 그 사람에 업무에 관련되었거나, 정보를 전달해야 줘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약자입니다.

 

DOB (Date of Birth)는 "생년월일"을 의미합니다. 미국에서 보통 병원이나 관공소등에서 입력양식 폼에 종종 사용되는 약어표현인데요. 해당 정보의 일자표현 형식의 순서는 한국과 다른 순서로 표기를 합니다.

보통 미국의 일자를 입력하는 순서는 "월/일/년도" 순서로 입력하는 게 표준적인 사용 방법입니다. 체크나 계약서 사용할 때, 꼭 이 순서를 사용됩니다.

 

미국의 일자 표시 순서
월 / 일 / 년도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는 본인인정번호 "암호"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은행에 ATM기나 보안을 필요로 하는 웹페이지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약어입니다.

 

 

한국에도 많이 사용되는 줄임말인 ATM, SOS, CEO, CFO, CTO 등이 있죠.

 

 

PTO (Paid Time Off)는 "유급 휴가"를 의미합니다. 직장에서 월급을 받으면서 쉬는 시간을 주는 것을 의미하죠. 그럼 반대로 무급휴가는 UTO(Unpaid Time Off)를 사용할 것 같지만, 그보다는 LWOP(Leave without pay)라는 약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RIP (Rest in Peace)의 죽음에 대한 명복을 빌어주는 단어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편히 쉬소서"로 의미하는데요. 보통 묘지가 나오는 만화에 비석에는 항상 이 단어들이 많이 사용되죠.

 

 

 

PR단어의 의미를 알지만 풀어서는 잘 몰랐던 단어

 

HR (Human Resources)는 보통 회사에서 "인사 관리팀"을 표현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회사에 채용, 급여, 복지, 직원 교육, 평가등을 담당하는 부서를 의미하죠. 

 

PR (Public Relations)는 "홍보"로 널리 알리는 것을 의미하죠. 한국에서는 자신을 PR 해야 한다는 표현을 자주 사용되었는데. 자신을 홍보하는 알리는 역할이 중요하는 의미를 이런 단어들로 만들어진지 몰랐네요.

 

PR (Public Relations)

 

SMH (Shaking My Head)는 "어이가 없다"라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주로 황당한 상황에 접했을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모티콘 중에 🤦 (이마를 잡고 어이없어하는 이모티콘)이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POV - Point of View 특별하거나 독특한 시각

 

 

POV (Point of View)는 일상 대화 중에 Point of View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데, "관점/보는뷰"라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보기 힘들다던지, 사람들과 다르게 보는 뷰를 이야기할 때도 많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UFO (Unidentified Flying Object)는 "미확인 비행 물체"를 의미하는데, 한국에서는 외계인을 표현할 때 많이 쓰이는데, 꼭 외계인을 표현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확인되지 않은 비행 물체이기에, 적국의 알지 못하는 비행기가 될 수도 있답니다.

반응형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모양의 "♡ 공감"을 눌러주시면 큰 격려가 됩니다.
(로그인하지 않으셔도 가능)